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2025 전기세 누진세 구간 요금 폭탄 피하는 방법 에너지캐시백 이벤트

by 몽타네소소 2025. 6. 3.
반응형

 

 

여름이 무섭게 다가오고 있습니다. 6월이 되어가니 날씨가 지난달과 사뭇 달라지고 있습니다. 에어컨을 켤 계절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 작년에 에어컨을 틀어서 생활하다 보니 전기세 차이가 확 났습니다. 경비실에 가서 물어봤더니 누진세가 붙어서 그런다고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. 사실 전기세 관리비에 대해 신경 안 쓰면서 살았는데 경제 공부를 하면서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.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세 누진세 구간을 알아보고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 

전기요금 계산법

 

✅ 전기요금 구조

 

 

기후환경요금

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제공에 소용되는 비용

부과방식 : 기후환경요금단가 x 사용전력량

 

연료비 조정요금

연료비 변동분을 반영하는 요금(석탄, 천연가스, 유류)

부과방식 : 연료비 조정단가 x 사용전력량

 

사실 복잡하지만 우리가 알 수 있는 건 사용량이 많아지면 요금이 상승하며 단가가 오르는 누진세가 생길 수 있다는 뜻입니다. 그래서 사용량만 줄어도 확실히 전기세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

 

✅ 계약종별 선택

- 전기세는 모두 일정하지는 않습니다. 어디에서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이 달라집니다.

- 주택용, 농사용, 학교, 산업용 등 모두 다르게 측정이 됩니다.

- 종류별로 전기요금 구조에 대해 궁금하시면 한전 on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✅ 전기요금표 확인하기

 

 

누진세 확인하기

 

✅ 누진세 정의

- 사용량이 많을수록 단가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. 전기를 많이 사용 시에 요금 단가가 올라가는 뜻입니다. 전력수요를 효율적으로      분산시키기 위한 제도이며 무분별한 에너지 사용을 막고 효율적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입니다.

- 전기요금 누진세는 주로 주택용(가정용) 전기에 적용됩니다.

- 산업용, 일반, 교육용 등의 전기 사용 시에는 별도 요금 체계가 있습니다.

 

✅ 누진 구간 (2025년 기준) - 주택용 전력(고압)

- 보통 아파트는 주택용 전력 고압을 사용합니다.(2002년 6월 1일 이후에 고층 아파트 적용하였습니다.) 

그래서 여기 포스팅에서는 고압 전력의 예시를 보여드립니다.

 

👉 하계를 제외한 계절의 전력 요금입니다. 200 kWh 이하 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730원에 전력량 요금은 105.0원 / kWhkWh입니다. 201~400 kWh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1,260원에 전력량 요금은 174원 / kWhkWh입니다. 400 kWh초과 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6,06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242.3원/ kWh입니다.

한전on 전력량 요금

 

👉 7월 1일~ 8월 31일까지 하계요금이 지정되어 있습니다.

 300 kWh 이하 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730원에 요금은 105.0원/ kWh입니다. 301~450 kWh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1,260원에 전력량 요금은 174원 / kWhkWh입니다.450 kWh초과 사용 시에는 기본요금 6,06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242.3원/ kWh입니다. 입니다.

한전on전력량 요금

 

✅ 요금 계산 예시

(기타 계절 월간 사용량이 450 kWh인 경우)

기본요금 : 6,060원

 

전력량 요금

 - 1단계 : 200 kWh x 105.0원 = 21.000원

 - 2단계 : 200 kWh x 174.0원 = 34,800원

 - 3단계 :   50 kWh x 242.3원 = 12,115원

 

기후환경요금 : 450 kWhx 9원 = 4,050원

 - 기후환경요금은 매년 변동, 한전 on에 게시됩니다.

 

연료비조정요금 : 450 kWhx x5원 = 2,250원

- 연료비조정요금은 3개월마다 변동, 적용 1개월 전 한전 on에 게시

 

전기요금계 = ①+②+③+④ = 80,275원

 

부가가치세 : 80,275원 x 10% = 8028원

 

전력기반기금 : 80,275원 x 3.2% = 2,560원

 

청구금액 : 80,275원+ 8,028원+2,560원 = 90,860원

 

 

전기세 절약방법

 

1. 실시간 전기 사용량 확인하기

한전 모바일 "한전 ON" 어플을 다운로드하여서 우리 집 사용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 

📌 하루 사용량 X 30일 = 월 누진 구간 예측 가능

 

2. 월 400 kWh 미만으로 사용하기 (하계는 450 kWh이상)

누진 3단계(400 kHh 이상)부터 요금이 급증합니다.

가급적 월 사용량을 400 kWh 미만으로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
 

📌 예) 379 kWh =  66,670원

           399 kWh = 70,700원

           419 kWh =  81,870원

 (20 kWh씩 차이를 봤을 때 4000원에서 11,000원으로 급상승함)

 

3. 대기 전력 차단하기

TV, 셋톱박스, 전자레인지, 밥솥 등 꺼져있어도 대기전력을 소비합니다. 멀티탭 전원으로 차단하면 됩니다.

 - 밥솥은 보온으로 계속 사용 중이므로 냉동으로 소분하여 필요시 꺼내 사용합니다.(1인가구 등 사용하기 편함)

 

4. 에어컨 온도 1℃ 올리기

 -  에어컨 온도를 1℃만 높여도 7~10% 소비전력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.

 - 여름철 적정온도는 26 ~ 28 ℃입니다.

 

5. 고전력 기기 사용시간 분산

 - 에어컨, 세탁기 등 고전력 가전은 오후에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보다 아침, 저녁이 좋습니다.

 

6. 외출할 때 끄기보다 ' 절전모드'

- 짧은 외출이라면 완전히 끄는 것보다는 절전모드가 에너지 절약에 좋습니다.

 

7. LED 전등으로 교체

 - 형광등 대비 LED는 50% 이상 절전효과가 있습니다.

 

8. 냉장고 설정 최적화

 - 온도는 냉장 3~4  ℃/ 냉동은 -18  ℃로 설정하며 문을 자주 열지 않습니다.

 - 뜨거운 음식 바로 넣지 않고 식혀서 넣습니다. 문을 닫아 적정온도로 내릴 때 전력이 많이 소모됩니다.

 

올해에도 여전히 여름 날씨가 무섭다고 합니다. 여전히 우리를 힘들게 하는 전기세와 누진세입니다. 하지만 우리가 누진세에 대해 알았으니 조금 더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. 이번 기회에 우리 집 전기세를 줄여보는 현명한 선택을 해보시기를 바랍니다. 

 

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이벤트

 

한전 ON에 들어가보니 여름철 에너지캐시벡 가입 이벤트를 진행중이였습니다.

 

🔶참여기간 : 25.5.14(수) ~ 7.13(일)

🔶 참여대상 : 이벤트 기간까지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에 가입한 고객

🔶 방법/경품 : 무작위 추첨을 통해 가입고객 200명에게 경품 지급

🔶 당첨자 발표 : 25년 7월 말

 

소소한 행복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~